본문 바로가기
공부일지/영어공부

[영포자 탈출하기] 06. 2 형식 문장연습

by 현_Hyeon 2020. 10. 24.
728x90

 

안녕하세요. 영포자 탈출하기, 그 여섯 번째 시간입니다.

지난 시간에는 1 형식에 대해 배워보았습니다. 영어문장의 형식은 동사가 어떻게 사용되는가에 따라 다르다는 말과 함께, 주어와 동사만으로 의미의 전달이 가능한 1 형식 문장을 공부하고 예문을 살펴보았습니다.

이번 시간에는 이어서 2 형식에 대해 살펴보려 합니다!

 

2 형식

1 형식 : S+V

2 형식 : S+V+SC

3 형식 : S+V+O

4 형식 : S+V+IO+DO

5 형식 : S+V+O+OC

 

영어의 2 형식 문장은 주어(S)+동사(V)+주격 보어(SC)로 이루어집니다.

주격 보어(SC)라는 말이 생소하지요? 문장의 구성요소 배울 때, 보어(C, complement)에 대해서 배운 적이 있습니다. 보어는 주어나 서술어만으로는 뜻이 완전하지 못한 문장에서 그 불완전한 곳을 보충하여 뜻을 완전하게 해주는 역할을 맡는다고 정리했었습니다. 이때, 주어나 목적어의 옆에서 꾸며주는 역할로 생각하면 된다고 추가로 정리를 했었는데요. 주어를 보충해주는 보어를 주격 보어라고 이해해주면 좋을 것 같습니다.

 

지난번 1 형식 때에는 주어와 동사만으로 의미 전달이 명확히 된다고 했었는데, 모든 문장이 주어와 동사만으로 간결하게 표현되지는 않지요. 문장에서 동사가 살짝 부실해서(?) 동사만으로는 주어에 대한  설명이 명확히 되지 않을 때, 주격 보어를 사용해 의미를 명확하게 만들어주는 형식의 문장이 2 형식 문장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2 형식 문장에서는 주어가 어떤 상태인지를 보어를 통해 알 수 있습니다. 이 2 형식 문장에서 사용되는 동사 중 대표적인 동사가 be동사입니다. be동사는 am, are, is(과거형은 was, were)이며, 의미는 “-이다.”, “있다.”입니다.

 

영어문장을 예로 들어보겠습니다.

I am

You are

He is

 

이렇게 세 문장을 살펴보면 순서대로 “나는 이다.”, “너는 이다”, “그는 이다.”가 됩니다. 어느 모로 봐도 의미가 명확하지 않지요. 이런 문장을 마주하면 “그래서 뭐라는 거지?”라는 생각이 자연스럽게 들게 될 것입니다. 이렇게 동사가 주어에 대해서 명확하게 설명해주지 않는 순간에 주어를 설명해주는 보어의 역할이 필요해집니다.

 

I am happy : 나는 행복하다(행복한 상태이다).

You are my everything : 너는 나의 모든 것이다.

He is a doctor : 그는 의사이다.

 

어떤가요? 주어를 설명해주는 말이 동사 뒤에 붙으니 의미가 명확해졌지요?

대표적으로 be동사를 예로 들었지만, 2 형식 동사는 그 밖에도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이를테면 감각을 나타내는 감각 동사, 흔히 become류 동사라고 부르는 동사들 등 여러 가지가 2 형식에 사용되는 동사들입니다. 이 또한 차차 익혀가도록 하겠습니다.

 

요약

– 2 형식 문장 구조 : 주어(S)+동사(V)+주격 보어(SC)

– 동사에 따라 주어가 충분히 설명되지 않는 경우가 있으며, 이때 보어가 필요하다.

 

오늘은 여기까지 공부하겠습니다. 

다음 시간에는 3형식 문장연습으로 찾아올게요.

그럼, 다음 시간에 만나요 :)

 

 

반응형